종려주일 단상
종려 주일은 십자가 수난을 위하여 예수 그리스도께서 예루살렘 입성(入城)을 축하하는 날로, 사순절의 6번째 주일이며 고난 주간이 시작되는 첫날이기도 합니다. 그리스 정교회에서는 이 종려주일을 주님께서 영광을 받으신 날로, 고난 주간과는 별도로 여기고 있습니다만, 동, 서 로마 교회는 이날을 만왕의 왕이신 예수님께서 어린 나귀를 타고 겸손한 인간의 모습으로 입성하심으로 낮아지심을 보이신 것과 또한 마지막 주간에 당하실 시련의 시작이란 의미에서 종려 주일을 고난 주간에 포함시키고 있습니다.
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은 주님께서 자신이 인류의 구원을 위해 메사야로 오셨음을 공개적으로 선포하는 것이며, 또한 일주일 후에 있을 부활의 승리를 예견한다는 의미에서 중요한 사건입니다. 백성들은 이날 주님의 예루살렘 입성을 축하하기 위해 종려 나뭇가지를 흔든 것은 종려나무가 승리의 상징이었고, 그리스도를 승리의 왕으로 보았기 때문입니다.
종려 주일의 행진은 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에서 유래된 풍습입니다. 이는 동로마 교회에서 보다 먼저 체계적으로 행해졌는데, 예루살렘 교회의 종려 행진은 이날 오후 감람산에 위치한 교회에서 찬송과 화답송을 부르고 교훈서를 낭독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이때 주교(主敎)는 그리스도로 분장하여 나귀를 타고 맨 앞에서 행진하였고, 그 뒤를 종려나무 가지와 감람나무 가지를 든 아이들이 따랐습니다. 서로마 교회에서도 종려 주일 행진 시에는 호산나 노래 등이 불리웠습니다. 이러한 찬양을 하는 가운데 종려나무 가지는 이 교회에서 저 교회로 옮겨졌다고 합니다. 이러한 종려 주일 행진은 중세 교회에서 흔히 행해졌던 것이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개신교 교회들은 이 축하 행렬은 행하지 않고, 단지 인류를 위해 왕으로 오셨으나 고난당하신 예수님의 정신만을 기념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날을 맞을 때마다, 당장은 당신께 환호하는 무리들이 곧 당신을 못 박으라고 돌변할 자들임을 아시면서도, 즉 며칠 후 당신은 십자가 처형을 당하실 것을 아시면서도 다만 그들 죄인의 죄값을 대신 치루사 구원을 주시려는 뜨거운 사랑으로 백성들의 환호 속에 예루살렘에 입성하셨던 주님의 심정을 다시금 헤아려 보아야 하겠습니다. 그래서 바로 나를 위해 주님이 당하신 고뇌와 고난이 얼마나 크고 감사한 것이었는지를 다시금 기억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그 예수님의 겸손과 온유에 대하여 묵상하는 시간을 가지므로, 이 주간의 의미를 지켜가야 하겠습니다.
장목사
‘모든 장애우들이 복음을 듣고 행복하게 사는 그 날까지...’